728x90
반응형
심리철학 발제 양상 vs 바빙크의 심리학
1. 심리철학 발제의 전형적 주제 경향
주제 영역주요 특징
심신 관계 | 고전 이원론 vs 물리주의 비교, 듀얼리즘 비판, 뇌 기반 인지 탐색 등 |
자아 개념 | ‘자아’는 신경계 활동의 구성물, 실체보다 경험적 구조로 해석 |
의식과 자유의지 | 자유의지는 환상일 수 있으며, 신경적 결정주의 관점에 가까움 |
도덕과 심리 | 칸트–피아제–콜버그 윤리 발달론 중심, 실천보다는 인지 기반 비판 |
인간 이해 기반 | 실증주의적, 경험주의적 인간 이해 강조. ‘영혼’ 개념은 철학적 메타포로 간주 |
신학과 철학의 구분 | 신학적 언어는 현상 설명 도구로서만 한정적 용인됨 |
✅ 정리:
심리철학은 비종교적·경험적 인간 이해를 중심으로 하며,
심리철학이 철학과 뇌과학 사이에 존재하는 해석적 장르로 위치됩니다.
2. 바빙크 심리학의 주요 입장 (요약)
항목설명
심신관 | 인간은 영혼–육체의 유기적 통합체. 이원론 거부하지만 물질환원주의도 거부. |
자아 개념 | 자아는 단순한 감각–인지적 구성이 아닌,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도덕적 인격 |
의지와 자유 | 의지는 실재하며 도덕적 자기결정 가능. 타락으로 인해 왜곡되나 성령으로 회복됨 |
정신 기능 | 인식–감정–의지 기능이 인격 안에서 통합 작용. 실존적·신학적 방향성 지님 |
도덕성과 죄 | 윤리 구조는 단지 발달의 결과가 아닌 창조–타락–회복 구조에 의해 설명됨 |
신학과 심리학 | 통합을 지향하되, 심리학은 신학 아래에서 방향과 해석을 부여받아야 함 |
3. 핵심 차이점 비교표
심리철학 바빙크 심리학
인간 정의 | 신체적–정신적 경험의 총합 |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도덕적 인격체 |
심신 관계 | 뇌 기반 인과 설명 / 비실체적 자아 | 유기적 통일체. 자아는 신적 목적 지닌 존재 |
의지 자유 | 신경적 결정론 경향 / 자유는 환상일 수 있음 | 제한된 자유 존재. 성령 안에서 회복 가능 |
감정과 정서 | 생물학적 정동 구조 / 뇌·신경계 중심 | 하나님 앞의 반응. 도덕적 정서, 경외 포함 |
자기 이해 | 자기란 사회적 구성물 / 실존적 체험 강조 | 자기는 하나님 앞에서 응답하는 책임적 자아 |
종교 개념 | 경험 구조의 일부 / 신비주의적 요소로 접근 | 실재적 하나님과의 관계. 계시로부터 해석 |
연구 방법 | 현상 분석, 철학적 조작, 뇌과학 도입 | 신학적 해석 + 심리학적 통찰 수용 (선별적 통합) |
4. 주제별 발제 응용: 예시
울산대 시각 바빙크 비교
“의식과 자유의지” | 의식은 뇌의 산물, 자유는 환상 | 의지는 인격의 결단 중심. 성령 안에서 진정한 자유 실현 |
“자아란 무엇인가” | 자아는 구성된 이야기, 사회적 조건 | 자아는 도덕적 응답 주체. 인격 중심 존재 |
“감정은 이성에 반하는가” | 감정은 생리적 반응의 결과 | 감정은 하나님을 향한 정서적 응답. 예배·죄책·감사의 일부 |
“심신 문제에 대한 이론들” | 이원론 비판, 물리주의 선호 | 실체이원론 거부. 그러나 환원 불가능한 인격적 정신 강조 |
✅ 최종 결론
- 울산대 심리철학은 경험주의, 뇌중심주의, 구성주의 자아론에 기초하여
인간을 해석하는 철학적 해설 구조에 가까움. - 바빙크 심리학은 신학적 인간론에 기초한 통합적 존재론으로,
인간의 자아, 감정, 의지를 하나님의 계시와 관계 안에서 해석합니다.
구성주의적 강점.// 현실 적 통합 지점 많은 강점.
신학적 인간론의 강점 성경적 인 통찰적 강점. 으로 정리 됨.
728x90
반응형
'도서 > 기독교상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혼돌봄의 상담학 현대 심리치료에 대한 질문 : 파울리슨 챕터 1 “Questions at the Crossroads: The Care of Souls and Modern Psychotherapies” (0) | 2025.04.09 |
---|---|
인간의 욕망에 대한 개혁(복음)주의자들의 관점 이해 (2) | 2024.11.06 |
종교심리학 리뷰(코넬리우스 반틸) (0) | 2019.09.15 |